본문 바로가기

기록, 기록, 또 기록

[펫 비즈니스 최고위과정 2기] #01. 반려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들여다보려고요

 

펫 비즈니스, 왜? 

"사랑하는 노령견을 떠나 보낸 후 인생의 방향이 통째로 바뀌었어요.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돕고 싶어요"

 

  2023년 4월, 연세대학교 상남경영원 mini MBA 펫 비즈니스 최고위 과정 2기를 시작하게 되었다. 3월 마지막 주 입학식 때 2기 원우분들 자기소개 시간이 있었는데 '최'씨라 마지막에서 두 번째로 발표했다. 어찌나 떨리던지. 기존에 스타트업 생태계 내 지원기관에서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일을 하다가 스타트업으로 가서 셀 리드를 맡게 되어 플랫폼 서비스 운영, 외부 협업 프로젝트 발굴부터 진행까지 참 다양한 일을 해왔다. 스타트업 씬에서 다 합해보면 3년 정도의 직장생활이었지만 개인적으로 많은 성장을 했다고 생각한다. 마음속으로는 창업에 대한 열망을 가진 상태로 계속 지내다가도... 못참고 중간에는 서비스 기획 부트캠프에서 신규 서비스 기획도 직접 해보며 열망을 키워보기도 했다.

 

2022년 1월 1일 가족과 함께 일출을 바라보며 (출처: 깜순알콩언니)

 

  2022년 8월, 18년 지기 반려견 깜순이가 무지개 다리를 건넜다. 집에서 엄마가 아픈 깜순이를 간병하시면서 어려움이 참 많았고, 간병하는 과정에서 겪어보니 보호자가 호소하는 고통도 정말 만만치 않았다. 결국엔 난 다니던 회사를 퇴사하고 온 가족이 함께 깜순이 간병을 시작했고, 3개월 정도 시간을 더 같이 보내고 품에서 깜순이를 보내주었다. 아픈 반려견, 아픈 노령견을 케어하는 반려가족이 겪는 어려움을 직접 경험했다. 다른 보호자들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을까? 이 어려움을 미리 알고 대비하면 참 좋을 거 같은데. 몇 년 동안 겪고 있던 어려움에 어떻게 해야할 지 방법을 못 찾다가 결국 모든 어려움을 다 겪어본 채 마무리 되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게 생겼고,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다. 노령견 케어 관련 서비스를 준비하던 중에 반려동물 산업 내에 전문가를 만나고 그들이 직접 겪어본 산업 내 동향, 트렌드, 이슈 등을 들어보며 인사이트를 얻고 기회를 찾아보고 싶어 최고위 과정에 합류하게 되었다. 현직 CEO는 아니지만 예비창업자로서 다양한 업계 새로운 분들과 여러 시각으로 이야기를 나눠보며 또 나름대로의 길을 찾아보고 싶다. 그 모든 것이 성장이기를, 그런 나를 위해 달려보는 이번 봄, 여름 화이팅이다아.

 

'Human Animal Bond' 란?

"인간과 반려동물의 공존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스며들었으면 좋겠어요"

 

  4월 첫 째 주 강의를 듣고 기억에 남는 부분을 기록해본다. Companion Animal Industry (반려 동물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코어 밸류는 Human Animal Bond다. 의미를 알 듯 모를 듯 하다.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의 존엄성도 존중받는 것. 개인적으로 해석해보면 인간과 동물의 강한 유대를 통해 나오는 모든 영향력. 힘. 가치 라고나 할까? 이미 미국에서는 1979년부터  Human Animal Bond 활동이 많이 진행중이라고 한다.   반려동물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은 참 대단하다. 개인적으로 18년 동안 반려견 깜순이와 함께 지내면서 서로 좋은 영향을 주고 받았다고 생각한다. 반려견이 태어남과 동시에 가족이 되어 자견, 성견, 노령기 그리고 마지막 숨을 내뱉을 때 까지 함께 하면서 나누었던 모든 순간에서 배운 점이 많았다. 반려견이 우리 삶에 들어와 그 존재 자체로 존중받고 온전히 그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나누는 사랑은 가치는 숫자로 산정할 수 없을 만큼 어마어마하다. Human Animal Bond의 기본적인 가치는 이런게 아닐까? 내가 겪었던 깊은 유대관계. 그 관계에서 나오는 어마어마한 영향력. 사회 곳곳에서도 이런 인간과 반려동물의 유대관계에서 나오는 긍정적인 영향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주고 문화의 한 흐름으로 형성되었으면 좋겠다.

 

2020년 12월 29일 가족과 함께 (출처: 깜순알콩언니)

 

  실제로 미국에서는 반려동물이 아이들에게, 학교에서, 병원 그리고 요양원에서 더 나아가 아픈 어린이들을 치료하는 어린이 병원에서도 동물과 함께 하는 동물매개치료는 실제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관련해서 자료를 찾아봤는데 'Human Animal Bond'에 대해 더 알고 싶은 분들은 읽어보면 좋을 듯 하다.

 

*참고해보면 좋을 자료 (출처: 힐링앤라이프 > Pet&Animal)

[Human Animal Bond] 1. 인간과 동물의 관계 그리고 역사

[Human Animal Bond] 2. 반려동물이 우리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Human Animal Bond] 2-1. 반려동물은 아이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Human Animal Bond] 3. 반려동물은 사람을 더욱 건강하게 한다.

[Human Animal Bond] 4. 반려동물과 사람의 건강한 노화

[Human Animal Bond] 5. 동물을 활용한 사람의 신체적 정신적 질환 치료

[Human Animal Bond] 6. 교실 속 반려동물

[Human Animal Bond] 7. 반려동물과 오래 건강하고 행복한 관계 구축하기

[Human Animal Bond] 8. 반려동물과 안전하게 생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