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덕트매니저

[스터디] SQL의 기초부터 배워보자아 빅데이터의 시대다. 일상생활에서 개개인의 데이터를 가지고 일어나는 일들은 참 무한하다는 것을 느끼는 요즘이다.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데이터 기반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해내야 하는 역량 역시 필수가 되었다. SQL을 빠르게 배워보고자 「칼퇴족 김대리는 알고 나만 모르는 SQL 기초편」(김지훈 지음, 책밥)을 활용해보고자 한다. SQL(Structured Query Langauge)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활용하려는 사용자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사이에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다. SQL 문법은 영어 어순과 비슷하여 하나의 영어 문장을 만든다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쉽다. 일단 이게 기본이다. SELECT 열 이름 FROM 테이블명 ORDER BY 열 이름; 이 기본 문장을 바탕으로 데이터 가져오기, ..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12. 트렌비에는 트렌봇이 있어요 트렌비가 스케일업을 위해 트렌비의 핵심기능과 앞으로 집중해야 할 부분을 살펴볼게요. 트렌비 완벽:정품체인 트렌비 | 트렌비 | www.trenbe.com 직접 바잉, 직접 검수, 직접 배송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전 세계 명품쇼핑 플랫폼 www.trenbe.com 트렌비는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 ‘트렌봇’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최저가를 찾아주고 단 한 번의 결제로 세계 각지에 있는 상품을 배송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영국에서 설립된 트렌비는 해외 6개의 주요 글로벌 쇼핑 거점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물류센터를 직접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외지사들은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정가품 검수 역할을 담당하며 고객들이 합리적이고 안심할 수 있는 쇼핑 환경을 제공한다. 2..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11. 카카오T 기차 서비스, 유저 스토리를 따라가보자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블랙, 바이크, 대리, 주차, 카풀, 내비, 셔틀, 해외여행, 시외버스, 기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주 수익원인 가맹택시사업과 대리운전 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영역으로 사업군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여러 이동 수단을 포함해 모빌리티와 인접한 분야다. 2021년 2월엔 기차 예매와 발권이 가능한 ‘카카오T 기차’ 서비스를 내놨다. 이외에도 시외버스 예매, 자전거 서비스, 주차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2021년 2월 1일 론칭되어 운영중인 따끈따끈한 카카오T 기차 서비스에 주목해봤다. 카카오T 는 기차를 시작으로 대중교통 운송 서비스를 연동해 범 광역권 이동 수단을 아우르는 'Mobility as a Service'형 플랫폼을 구축하려고 한다...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10. 스타벅스 앱 UX에 심리학 법칙을 적용해보면 UX(User Experience)는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을 이야기한다. 이는 사용자가 경험하는 것에 포커싱하는 것인데, 즉 사용자의 행동에 주목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UX에 집중해야 한다.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이미지, 텍스트, 흐름 이렇게 크게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접근하고, PM은 좋은 UX로 개선해야한다. (이미지) 이미지를 다양하게 활용해 고객과 인터렉션을 한다. 잘 만들어진 이미지는 좋은 고객경험으로 이어진다. 즉,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고객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텍스트) 잘 설정된 텍스트로 하여금 고객들에게 계속 질문을 던지고,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다. 버튼을 통해 보다 확실한 내용을 전달해 고객이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법도 있다. 필수..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07. 마켓컬리, 비즈니스 모델로 접근해보다. 4주차는 프로덕트 성장전략과 목표 및 핵심지표 설정이라는 큰 주제를 다룬다. 이때 생각해볼 수 있는 프레임워크는 BM(Business Model)과 Pricing전략이라고 한다. 과제를 통해 다시 한 번 정리해보겠다! 먼저, 기존에 배웠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프레임워크에 마켓컬리의 사례를 넣어보았다. Q. PM에게 BM에 대한 이해는 왜 중요할까? 보통 비즈니스 모델이란 "어떤 제품/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어떻게 제공하고, 마케팅하며, 돈을 벌 것인가 하는 계획 또는 사업 아이디어"라고 정의한다. PM에게 비즈니스 모델은 사업을 이끌어가고 서포트하는데 중요한 기준점이 되기 때문에 꼭, BM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고 보완해나가야한..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04. 왓챠, 콘텐츠 개인화에 집중해요. 큐레이션. 정말 이 시대에 없어서는 안될 키워드이자 이 시대의 흐름이라고 생각한다. 정보도 넘쳐나고, 콘텐츠도 넘쳐나는데 우리는 무엇을 골라서 읽어야하고, 찾아봐야하는지 참 어려운 사회가 되었다. 개인적으로 나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좋아한다. 나의 상황, 상태에 따라 맞춤형 제안을 해주고 나는 그 중 선택하여 구독해보고. 무엇인가를 선택하는데 피로하지 않고, 새롭고 신선했다. 생각해보니 나도 일을 하면서도 직접 큐레이션해서 제공하는 일을 해보았다. 500여 명의 미디어/기자님들 대상으로 테마별/주제별로 스타트업의 서비스/프로덕트를 선별하여 소개하는 글을 써서 레터를 발행했었는데, 주제별로 관심있어 하시는 기자님들은 직접 기사를 써주시기도 하였다. 아무튼. 왓챠, 국내 OTT(Over The Top) 기업이.. 더보기
[코드스테이츠 PMB 5기] #03. 고객,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 부트캠프 첫 주 부터 프로덕트 매니저에게는 '고객'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주부터 고객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고드는 것 같다. 고객, 고객 또 고객! 고객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는 가장 기초적인 물음에 답해보겠다. Q. 고객이 왜 중요한가요? 프로덕트 매니저가 주목해야 할 대상이 바로 고객이다.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해 그들의 행동, 습관, 마음, 감정상태, 사소한 부분까지 집착하여, 어떤 프로덕트로 하여금 최선의 고객경험을 이끌어내는 것이 프로덕트 매니저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프로덕트를 만드는 팀은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경험을 가져다주면, 재구매/재유입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이끌어온다. 이는 한 프로덕트를 만들기위해 힘을 모으는 프로덕트 매니저, 디자이.. 더보기